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조회 수 366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1.jpg

'임대차법 1년, 계약갱신권은 더 강화돼야 한다'

7월 31일 임대차법 개정 1년 맞아 
임대차법 1주년을 맞이하는 ‘집걱정없는세상연대’ 성명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계속거주권의 발판이 마련된 지 1년이 지났다. 1회에 불과한 것은 작은 진전이지만 계약갱신청구권이 도입된 것 자체는 계약기간이 2년으로 정해진 1989년 이후 31년 만의 큰 걸음이었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의 임차인의 협상력을 보완하고 갱신청구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한 ‘인상률 제한’은 동시 시행되었지만, 전월세 신고제의 시행은 유예되었다. 향후 전월세 신고제가 본격 시행되면, 실거주 사유로 임차인을 내보내고 실제로는 실거주하지 않아도 적발하기 어려운 문제는 해소될 것이다. 임대차 시장의 변화 현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제도 도입 초기에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을 제대로 진단하고 올바른 처방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의 전세 매물 품귀와 가격 상승을 둘러싼 여러 가지 분석이 있다. 현상을 둘러싸고 여러 관점에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런데 임대차 개정 3법에서 모든 문제가 비롯되었다는 식의 언론 보도들은 매우 우려스럽다. 주거안정의 측면을 의도적으로 도외시한다면 불순한 흠집내기이고, 계약갱신청구권 때문에 전세가 줄어든다는 주장이라면 역사적 관점도 결여된 것이다. 

1990년대 중반 30%에 달했던 전세의 비중은 계속 줄어들고 있었다. 이미 2016년에도 박근혜 대통령이 “어차피 전세의 시대는 갔다”고 했을 정도다. 전세금 반환의 여유가 있는 임대인들부터 계속 전세를 월세화하여 2019년에는 전세 비중이 15%, 월세 비중은 23%가 되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전세 보다 훨씬 많아진 월세가구에도 필요한 권리다. 

그런데 이미 전세보다 훨씬 많아진 월세 부문에서의 주거안정에 가져오는 효과에는 의도적으로 눈을 감고, 그 전부터 줄고 있던 전세의 축소 원인을 31년만에 도입된 계약갱신청구권에서 찾는 것은 악의적 분석이다. 

특히 세입자의 입장에서 더욱 고약한 것은, 결과적으로 임차인들 사이를 이간질하려는 시도다. ‘성실한 세입자가 2년 더 살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다른 세입자가 집을 구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주장은,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를 넘어, 임차인 사이에서의 갈등과 우리 사회의 분열을 부채질한다. 

1주택자든 세입자든, 누구나 원하는 기간만큼 주거안정을 누릴 권리가 있다. 신규진입자를 위해서는 꾸준히 주택을 공급할 일이지, 현재 살고 있는 성실한 세입자도 마음대로 내쫓을 수 있어야 비로소 다음 세대가 집을 구할 수 있다는 논리는 무책임함을 넘어 비겁하고 무도하다. 전세금을 마음대로 올려가며 투기의 종자돈을 마음대로 동원할 수 있었던 과거를 그리워하는 일부 다주택자들의 처지만을 대변할 것이 아니라, 부동산시장 정상화를 위해 투기의 금단증상을 이겨내길 독려하는 것이 언론의 도리다. 
 

세입자가 살던 집이 당장 빈집이 된 것도 아닌데, 전세매물이 줄어들었다는 것은 그만큼 계약갱신을 많이 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따라서 매물이 감소한 것만 보고 정책이 실패했다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하다. 법 개정 때문에 증여가 많아졌다고도 하지만 향후에도 무한정 증여가 늘어날 수는 없다. 그동안 계속거주권이 전혀 보장되지 않았던 것이 오히려 문제인 것이며, 이제 한발 내딛은 거주의 권리와 이전의 자유가 충돌하지 않고 조화를 이룰 방법을 찾는 것이 미래지향적인 자세다.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이전에도 평균 거주기간은 3.4년이었다는 사실은, 그 전에도 절반 정도의 세입자들은 계약을 1회 연장을 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갱신 횟수를 무한정으로 보장하거나, 3년 계약기간을 2번 갱신하는 등 다양한 논의가 있었지만 결국 현재의 2년 계약을 유지하고 이를 1회 연장하는 안으로 수렴한 것은 기존의 시장질서를 존중하고 새로운 제도도입의 충격을 최소화하려 했던 조치다. 그러나 이미 선진국이 된 대한민국이 여기서 만족할 수는 없다. 무기계약이 자연스러운 세상에 살고 있는 많은 나라들의 세입자의 처지를 우리나라 세입자라고 마냥 부러워만 해야 할 이유는 없다. 

이미 줄고 있던 전세가 더욱 줄어들 것을 걱정한다는 핑계나, 초기의 반발과 부작용을 침소봉대하여 주거권 신장을 위한 임대차보호의 대의를 거부하려는 주장에 현혹되어서는 안 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처음 제정되어 겨우 1년의 거주기간을 보장받게 하던 1981년 이전의 상황으로 퇴행할 것이 아니라, 당장의 진통을 이겨내고 우리의 후손들에게 어떠한 세상을 물려줄 것인지를 되새기며 계속거주권을 실현하기 위해 담대히 나아갈 때다.

2021년 7월 30일 

집걱정없는세상연대

공기네트워크, 광주복지공감플러스, 내가만드는복지국가, 노년유니온, 노동도시연대, 노후희망유니온서울본부,
녹색전환연구소, 대전복지공감, 대전시사회복지사협회, 마포주거복지센터, 민달팽이유니온, 부산시사회복지사협회,
부천시사회복지협의회, 빈곤사회연대, 서울복지시민연대,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복지국가시민위원회,
서울주거복지센터협회, 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 송기균경제연구소, 오늘의행동사회적협동조합,
울산시사회복지사협회, 전남사회복지사협회, 집걱정없는세상, 집값정상화시민행동,
주거중립성연구소수처작주, 참된부동산연구소, 천주교인권위원회, 한국도시연구소, 한국복지교육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사)한국사회주택협회, 한지붕협동조합


  1. 2021년 서울사회복지사 등반대회에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존경하는 서울사회복지사 여러분 서울사회복지사협회장 심정원입니다. 올해 등반대회에서는 많은 분을 직접 뵙고 인사를 나눌 수 있길 바랬지만 최근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부득이하게 영상으로 인사드리게 되었습니다. 2005년에 시작된 서울사회복지사 등반대...
    Date2021.10.14 Bysasw Views281
    Read More
  2. 디지털 포용과 사회복지

    디지털 포용과 사회복지 오건호(내가만드는복지국가 정책위원장) 정말 빠르게 디지털세상이 왔다. 이제는 곳곳에서 무인 편의점을 만난다. 식당에 가도 무인화 단말기로 음식을 주문하고, 금융 거래와 상품 주문도 스마트폰으로 진행한다. 어디를 갈 때도 지도...
    Date2021.10.13 Bysasw Views447
    Read More
  3. 서울시 사회복지종사자를 위한 ‘위기대응지원센터’설립에 대한 기대와 바람

    지난 9월 9일(목) 오후, 위기대응지원센터 설치를 위한 온라인 토론회가 있었다. 우리협회가 3년 전부터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진행해 온 '사회복지 종사자의 안전과 인권보장을 위한 위기대응능력강화사업 - 위기( We機) : 우리를 위한 기회'사업의...
    Date2021.09.30 Bysasw Views445
    Read More
  4. 이제 우리에겐 공적인 관계망이 필요합니다

    이제 우리에겐 공적인 관계망이 필요합니다 김승수(똑똑도서관 관장) 2012년부터 UN(국제연합)은 153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행복지수를 측정하여 세계 행복 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를 발행하고 있다. 6가지 주요 변수(1인당 국민소득, 개인의 자유, ...
    Date2021.09.28 Bysasw Views566
    Read More
  5. 17년째 겨우겨우 최저임금만 맞추는 지역아동센터는 문을 닫으라는 거냐?

    17년째 겨우겨우 최저임금만 맞추는 지역아동센터는 문을 닫으라는 거냐? 22년 지역아동센터 정부 예산안은 최저임금 인상률도 못 미친다. 코로나 4단계로 현장의 어려움이 끝도 없이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는 국회에 22년 예산안을 제출하였다. 당·정 협의를 ...
    Date2021.09.08 Bysasw Views981
    Read More
  6. 장애인복지관의 뉴노멀과 위드 코로나

    장애인복지관의 뉴노멀과 위드 코로나 최미영(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사람중심서비스국 국장) 잠시일 것만 같았던 팬데믹(Pandemic)은 벌써 2년 차에 들어섰다.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서 하반기에는 서비스 정상화를 꿈꾸었지만 최근 4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
    Date2021.09.02 Bysasw Views892
    Read More
  7. 우리 안의 ‘래디컬 헬프(Radical Help)’

    8월 한 달 동안 3차례에 걸쳐 ‘래디컬 헬프' 관련 영상이 서울사회복지사 유튜브에 업로드 되었다.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복지국가시민위원회와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복지국가위원회, 복지300이 공동 제작한 힐러리 코텀(Hilary Cottam)의 책을 번역하여 소개한...
    Date2021.08.30 Bysasw Views917
    Read More
  8. 정부는 당사자의 입장에 기반한 탈시설 정책을 수립하고, 시설 노동자의 고용보장 대책을 마련하라

    지난 8월 2일 보건복지부는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로드맵 및 장애인 권리보장법 제정 추진 관련 브리핑을 진행했다. 본 로드맵은 탈시설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돕기 위해 향후 20년간 단계적으로 자립 생활을 지원하는 것으로 탈시설 지원사업...
    Date2021.08.10 Bysasw Views562
    Read More
  9.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의 사회복지

    젠더 관점에서 본 한국의 사회복지 정재훈(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한국사회는 여러 면에서 ‘피로사회’다. 장시간 노동에 많은 사람들이 시달린다는 의미에서 피로사회다. 그런데 또 다른 차원에서 피로사회이기도 하다. 사회변혁의 계기가 될 수 ...
    Date2021.08.05 Bysasw Views1304
    Read More
  10. 임대차법 1년, 계약갱신권은 더 강화돼야 한다 

    '임대차법 1년, 계약갱신권은 더 강화돼야 한다' 7월 31일 임대차법 개정 1년 맞아 임대차법 1주년을 맞이하는 ‘집걱정없는세상연대’ 성명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계속거주권의 발판이 마련된 지 1년이 지났다. 1회에 불과한 것은 작은 진전이지만 계약갱신...
    Date2021.07.30 Bysasw Views366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46 Next ›
/ 4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