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조회 수 82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사회복지사가 주거권운동을 하는 이유

 

 

 

 

 

79229761_2608036209283545_3334054370240102400_n.jpg

 

 

 

 

 

 

 

 

 

 

 

 

 

 

 

 

 

 

 

 

이명묵 (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 대표

/ 집걱정없는세상연대 집행위원장)

 

 

 

 

집은 인권이다

 

  집은 의식주의 하나로 개개인 삶의 일차적 요소이다. 집은 하루의 노동을 마치고 편안히 쉴 수 있는 안식처이고,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는 공간이다. 인간은 기본 욕구인 주거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다음 단계인 사회활동과 자아실현에 매진할 수 있다. 따라서 집은 단순한 건축물이 아니라 인간 존재와 인식의 가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 공간이다. 때문에 사회 구성원 삶의 질에 관심 갖는 복지국가에서는 집을 인간다운 삶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주거권 보장을 위해 국가재정을 적극 투입해 왔다.

 

 

국민의 과반수가 집 문제로 고통을 겪고 있다

 

  그에 반하여 우리나라 국민에게 집은 인권이 아니라 부동산으로 호명되고, 재산 증식의 통로로 인식되어 왔다. 빈부 초격차 사회에서 집은 이를 더욱 가속시키는 불평등 요인이 되고 있다. 국민은 집 있는 사람과 집 없는 사람으로, 1주택자와 다주택자로 분열되고 있다.

 

  주택보급률이 105%임에도 수도권 인구의 절반이 무주택자이고, 유주택자 중에도 상당 부분은 내 집이 아니라 은행 집에서 살고 있다. 결국 우리에게 집은 살만한 이 아니라 삶을 짓누르는 이 되어, 전 국민의 과반수가 집 문제로 고통스런 삶을 살아내고 있다. 최근의 집값 폭등은 집에 대한 청년세대나 도시 서민의 희망을 좌절시키고 있다. 의식주의 하나인 주거가 위협받으니 스스로 열패감에 빠지기도 하고, 부모를 원망하기도 하고, 세상에 대한 실망으로 각자도생에 몰두하여 사회 전반의 공동체성이 더욱 약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집이 상품으로 주택시장에서 거래되고 건설사와 일부 구매자 중심의 부동산 정책이 여론을 왜곡 흡입하는 사이 세입자와 보통 국민들의 주거안정과 삶의 행복은 외면당했다. 이러한 결과로 집으로 인한 사회 불평등과 갈등 구조는 심화되었고, 주거권의 사회 영역 자리는 투기의 욕망 영역으로 굳어져 왔다. 세계 10대 경제 강국 나라의 국민 행복지수가 60위권인 이유이기도 하다.

 

 

70여 년간 정부는 국민의 주거권 보장을 외면했다

 

  우리나라가 왜 이 지경이 되었는가? 2차 세계대전 이후 폐허의 유럽 주요 국가들은 국가재건 전략으로 경제부흥과 국민 복지를 병행하였고, 복지의 가장 큰 핵심은 공공주택 공급이었다. 그러나 산업혁명으로 산업 기반이 잔존했던 유럽과 달리, 한국전쟁 이후 우리는 (특히 남한에서는) ‘경제부흥보다는 경제개발을 해야 하는 처지였기에 복지정책을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1990년대 중반까지 40여 년간의 경제개발 집중 시기에 경제는 성장했지만, 그 안에 경제 정의’, ‘분배 정의없이 정권과 결탁한 경제 세력이 득세하면서 사회전반에 천민자본주의가 팽배하게 되었다. 또한 해방 후 친일세력을 처벌하지 않아 그들이 기득권으로 세력화 되면서 우리 사회에 사회 정의규범이 서지 못하였고, 서민은 각자도생 자구책을 찾게 되었다. 이에 더하여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있는 자와 없는 자의 격차는 극대화의 길을 걷게 되었고, 최근 코로나19는 없는 자의 고통을 배가시키고 있다.

 

  집 문제는 이러한 역사 속에서 오로지 국민 각자의 몫으로 떠넘겨 졌다. 없으면 없는 대로 판잣집을 지어 살다가 철거되어 강제 이주되거나, 세입자로 살면서 난민생활을 하거나, 지옥고로 불리는 반지하, 옥탑, 고시원 등 집 아닌 집에 살아야 했다. 영혼까지 끌어 모은 빚과 캡투기에 가담하거나, 무리하게 대출받아 집 사고 은행 소작인이 되어야 했다. 국민은 주거불안의 연속선상에서 내 집 장만을 지상 과제로 삼아야 하는 집의 노예가 되었다. 나와 내 가족의 삶에서 집 그 이상의 어떤 꿈도 꾸지 못하는 행복지수 바닥인 국민이 되었다.

 

  한국전쟁 후 70여 년간 정부는 언제나 () 있는 자와 집장사의 편이었다.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며 토지를 수용하였지만 그 땅의 대부분은 건설회사의 몫이었고, 국공유지를 매각하여 더 큰 땅부자들을 만들어 냈고, 재개발한다면서 원주민을 이주민으로 만들었고, 공정과세 대의에 따른 부동산 세제 정상화가 3% 다주택자 압력에 굴복당하고, 주택 임대 기간 2년 연장에 30년을 허비했다.

 

  1970~80년대 철거민 투쟁으로 임대주택이 일부 공급되었지만, 진정 모든 국민의 주거권을 위한 주거정책, 주택정책은 없었다. 토지는 국민 모두의 땅이 아니라 정보와 권력에 밀착한 자와 조직의 것이 되었다. 지난 세월 국가는 국민의 주거권을 외면했고 그 책임을 방기했다. 우리말에 배부르고 등 따시면 살만하다고 한다. ‘등 따시다는 말은 마음 편안히 누울 수 있고 쉴 수 있는 집을 말하는 것이다. 우리 국민의 과반수는 아직 살만하지 못하다.

 

 

주거권운동으로 집 걱정 없는 세상을

 

  땅과 집에 관한 불의를 지우고 국민 주거권을 바로 세울 방법은 정녕 없는가? 있다. 헌법에 담겨 있는 토지와 인권의 정신을 지켜내고, 집이 인권이라는 사회적 규범을 세우는 길이 있다.

 

  이 땅의 토지는 국민 모두의 것이기에 더 이상의 사유화를 중단하고 공유지를 확대하여, 공공의 이익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집은 국민 행복의 출발점이고 인간의 기본권임을 인식하고 사회권으로서의 주거권에 대한 국가책임을 천명하고 주거권보장 10년 국가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면 된다. 내 집 장만이 소원이 안 되도록, 오랫동안 아무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계속거주권을 임대차법에 심으면 된다.

 

  전 세계 국민 행복지수 조사에서 보면 상위 10위권의 나라들은 높은 공공임대주택 보급률이 공통점이다. 집에 대한 국민 인식과 사회 규범이 전환되고, 정부가 주거권 보장 행동계획을 실행한다면 우리도 집 걱정 없는 세상에서 살 수 있다. 가장 가난한 나라에서 10대 경제 강국이 된 경제기적을 해 냈듯이, 집 걱정 많은 나라를 집 걱정 없는 나라로 바꾸는 주거기적도 이룰 수 있다. 집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불을 지피고 국민과 함께 끊임없이 대안을 모색하면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다. 국민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교육과 보건의료와 주거세 가지는 기본권적 사회권으로 국가 책임이 분명하다. 교육과 보건의료는 일정 정도 진전되고 있으나, 주거권은 이제 시작이다.

 

주거권운동은 사회복지 실천의 최우선

 

  사회복지의 최일선은 <의식주>의 문제이다. 다행히 그간 복지행정이 꾸준히 증대되면서 의식은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있지만, ‘주거는 관심 밖의 문제로 미제 사안 격이다. 정부는 의식을 생존의 문제로 심각히 받아들인 반면에 주거는 국가 책임이 아니라며 개인의 몫으로 방치해 왔다. 그러나 최근 집값 폭등으로 집 문제는 이제 개인의 손을 떠나게 되었다. 너무 늦었지만 이제라도 나라가 나서야 할 때다.

 

  최근 사회복지사가 중심이 된 31개 복지단체와 시민 사회 단체가 이러한 문제를 심각히 인식하고 주거권운동을 시작하였다. 63일은 30년째 맞이하는 무주택자의 날이었다. 이전의 철거민운동을 국민 주거권 운동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날이다. 2년마다, 4년마다 이사 당하면 그 사람이 21세기 현대판 철거민이고 이주민이고 실향민이다. 우리 국민은 내가 오랫동안 살고 싶은 마음의 고향에서 실제 거주하고 싶다. 옥탑방에서 내려오고 싶고, 반지하방에서 올라가고 싶다. 적정 주거에서 오랫동안 행복하게 살고 싶다. 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의 불안 요소를 제거하고 행복 요소를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ae422fa6f2e194112dfc2939af53f00d (1).jpg

 

 

  전국의 뜻 있는 사회복지사들이 국민의 주거권 보장에 확실한 책임을 다하라고 정부에 요구하는 활동을 할 것이다. 집은 인권이고, 사회복지사는 인권옹호자이기에 주거권 운동으로 집 걱정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결의이다. 그간 기존의 철거민 중심의 주거권운동에 참여하지 않았던 사회복지사 집단이 전 국민의 주거권 보장을 위한 복지운동 출발선에 나서면서, 202162일 재산권과 주거권이 맞닿는 서울역 앞 동자동에서 집걱정없는세상연대(집연대)’가 출범했다. 이 자리에서 집연대는 다음 여덟 가지를 주창하였다.

 

정부와 국회는 헌법 정신에 따라 토지공개념을 구현하고, 토지초과이득세를 도입하라.

목적 외 토지와 다주택자 소유에 대한 보유세를 강화하라.

향후 10년간 질 좋은 장기공공임대주택을 매년 20만호 공급하라.

공공택지에는 공공주택(공공임대, 공공자가)만 공급하라(공공택지 민간매각 금지).

계속 거주권 보장을 위한 임대차보호법을 강화하라.

주거급여를 현실화하고, 주거비 지원을 강화하라.

주거의 탈탄소화와 탄소중립. 주거 부문에서의 에너지 복지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녹색 집수리(그린 리모델링 Green remodeling) 시행을 확대하라.

정부는 주거권 보장 국가계획을 수립하라.

 

  집연대는 이어서 611일 국회 앞에서 토지와 주택 관련 세금을 감면하고자 하는 여당의 방향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요즘 우리는 대한민국 민주공화국에서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공화국에서 살고 있다는 착각이 든다. 자고나면 부동산 뉴스, 자고나면 부동산 뉴스. 정부와 여당은 요동치는 부동산 시장을 근본적인 원칙과 정책으로 통제하지 못한 채 갈팡질팡 중심을 못 잡고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민주당이 부동산 부자들에 대한 감세 조치를 준비하고 있어 많은 국민들을 경악케 하고 있다. 우리사회 극심한 빈부격차의 주범 중 하나가 부동산임은 만천하가 알고 있는 사실인데, 대다수의 부동산 빈자인 국민들 마음에 또 하나의 상처를 내는 부동산 부자 감세 소식에 집연대는 국민과 함께 여당을 규탄한 것이다.

 

  우리 국민들은 세 가지 걱정만 없어도 살겠다고 한다. 사교육비 걱정, 집 걱정, 노후 걱정. 사회복지가 국민들의 걱정을 덜고 행복의 희망을 일구는 것이라면, 이 세 의제를 해결하는 사회행동 복지운동을 하는 것은 사회복지사의 책무 중 하나일 것이다. 국민의 기본권인 주거권이 보장되는 복지국가를 염원하는 주거권 운동에 더 많은 사회복지사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

 


  1. 임대차법 1년, 계약갱신권은 더 강화돼야 한다 

    '임대차법 1년, 계약갱신권은 더 강화돼야 한다' 7월 31일 임대차법 개정 1년 맞아 임대차법 1주년을 맞이하는 ‘집걱정없는세상연대’ 성명 대한민국 역사상 처음으로 계속거주권의 발판이 마련된 지 1년이 지났다. 1회에 불과한 것은 작은 진전이지만 계약갱신...
    Date2021.07.30 Bysasw Views368
    Read More
  2. 사회서비스원을 양치기 소년으로 만들 셈인가

    사회서비스원을 양치기 소년으로 만들 셈인가 김진석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시작은 나쁘지 않았다. 공공부문 일자리 81만개 창출, 그 가운데 사회서비스 분야 양질의 일자리 34만개를 만들겠다는 선언부터 일견 담대해 보였고, 시민들은 이 시작...
    Date2021.07.26 Bysasw Views998
    Read More
  3.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백신(Vaccine)

    마음 무거웠던 7월이 간다. 6월 말 다소 안정세를 보이는 코로나19 방역과 백신 접종 상황으로 7월이 되면 방역 완화 지침을 통해 조금은 더 자유로워질 수 있을 거라 들떠 있었는데 서울과 경기도 수도권에서 시작되었던 감염 확산이 이제 전국으로 확대되고 ...
    Date2021.07.26 Bysasw Views493
    Read More
  4. 이용자 중심의 사회적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 가지 조건

    이용자 중심의 사회적 돌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세 가지 조건 최영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교수) 우리 사회는 최근 급격한 저출산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으로 인해 노인, 아동 등에 대한 돌봄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반면, 그동안 가...
    Date2021.07.05 Bysasw Views1040
    Read More
  5.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병원비백만원연대’ 출범

    우리협회 복지국가시민위원회(위원장 박정식)는 보편적복지국가를 위해 2015년부터 어린이병원비보장추진연대에 함께 연대하면 활동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병원비국가보장추진연대 경과영상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전자책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자료집 내려받...
    Date2021.06.30 Bysasw Views499
    Read More
  6. 미래사회를 위한 사회복지사들의 준비, 그 역할과 기대

    우리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에서 2021년 올해 두 가지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하나는 기획위원회(성미선 위원장)의 ‘사회복지사의 본질적 역할을 탐색하고, 사회 요구에 부합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연구’이고, 또 다른 하나는 정책위원회(서동명...
    Date2021.06.29 Bysasw Views1800
    Read More
  7. 사회복지사가 주거권운동을 하는 이유

    사회복지사가 주거권운동을 하는 이유 이명묵 (세상을바꾸는사회복지사 대표 / 집걱정없는세상연대 집행위원장) 집은 인권이다 집은 ‘의식주’의 하나로 개개인 삶의 일차적 요소이다. 집은 하루의 노동을 마치고 편안히 쉴 수 있는 안식처이고, 서로의 존재를 ...
    Date2021.06.11 Bysasw Views828
    Read More
  8. [20대 대선] 복지국가실천연대 대통령선거특별위원회 발족

    2021년 6월 10일(목) 오후1시 복지국가실천연대가 '대통령선거특별위원회'를 발족했다. 발족식은 3당 원내대표 및 대선유력주자들의 축하메시지로 이루어졌다. 복지국가실천연대는 2019년 6월 14일 장충체육관에서 보건복지부장관(박능후), 서울특별시장(박원...
    Date2021.06.10 Bysasw Views364
    Read More
  9. 2022년도 처우개선 및 운영지침 건의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는 서울시사회복지단체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와 함께 "2022년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 및 운영지침 건의서"를 마련하고 지난 6월 3일 서울시 복지정책과에 전달하였다. 건의서에는 다음의 7대 건의 내용을 담았으며, 직능...
    Date2021.06.07 ByAdmin Views11065
    Read More
  10. [성명서] 노인을 이용한 특권과 반칙이 난무하는 악법! 대한노인회법 제정을 즉각 철회하라!

    노인을 이용한 특권과 반칙이 난무하는 악법! 대한노인회법 제정을 즉각 철회하라!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회장 박노숙)는 6월 4일(금) 대한노인회법 제정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고 대한노인회법안의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한국노인종합복지관협회는 성명서를...
    Date2021.06.04 Bysasw Views6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46 Next ›
/ 4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