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환경 속 인간_높이 조절 키오스크

 

 

 

 

 

 

 

 

 

 

KakaoTalk_20210527_153222255.jpg

 

 

 

 

 

 

 

 

 

 

 

 

 

 

 

 

 

 

 

 

 

김세진(사회복지사무소 '구슬' / 책방, 구슬꿰는실 대표)

 

 

 

 

 

사회사업에서 ‘장애’는 어느 한쪽의 문제가 아닙니다. 

당사자의 능력이 뛰어나도 그 이상을 요구하는 환경과 만났을 때 경험하는 약함이 ‘장애’입니다. 

내 약함이 장애가 아닙니다. 

내가 강해도, 그 이상을 요구하는 환경에 놓이면 그때 그 일에서 장애를 경험합니다.

 

 

 

 

'장애'는 만들어지는 것

 

 

이처럼 '개인과 환경'을 이야기할 때 종종 공중전화 사진을 참고했습니다.

(지금은 공중전화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니 이 비유를 소개하지 않습니다.)

 

 

nBh8EgDys1R65Bl362O28np5GLxDgkN0.jpg

 

 

위 사진처럼, 예전에는 거리에서 이런 공중전화가 많았습니다.

아쉽게도 키가 작은 이, 허리가 굽은 어르신,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는

이 전화기를 이용하기 쉽지 않습니다.

특히, 공중전화부스의 턱과 좁은 공간 때문에 휠체어는 아예 들어갈 수 없습니다.

이때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나 키가 작은 사람은 전화기 이용에 '장애'를 경험합니다.

 

 

 

아래는 98년, 일본 복지시설 배낭여행 때 벳푸에서 직접 찍은 사진입니다.

거리에서 만난 이 공중전화 부스는 진입로에 턱이 없고, 공간이 넓습니다.

부스 안 전화기가 낮게 달려있습니다.

거울이 있고, 옆에는 손잡이까지 있어 휠체어를 사용하는 이도 쉽게 이용합니다.

휠체어를 탄 사람도 전화기를 이용할 때 '장애'를 경험하지 않습니다. 

이런 환경(사회)에서는, 이 상황에서는, 이 일에서는 '장애인'이 아닙니다. 

 

 

7LivFTB80KGn02a7vWja8IBQ51h3rqbE.jpg

 

사진출처: 김세진, 1998

 

 

 

아래는 일본 나리타 공항 공중전화기 모습입니다. 

키가 다양한 사람을 생각하여 만들었을 겁니다. 

어린아이, 허리가 굽은 노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이 함께 살아간다는 생각이 바탕에 있으면, 

이런 환경(사회)을 설계하는 일이 자연스러울 겁니다.

 

 

 

KwPLw0bO2MO4Xyo2g46vSt5nI4eyRF44.jpg

일본 나리타 공항 공중전화 (사진 출처 : blog.naver.com/nkw4504/221296127244)

 

 

a1c7l399067Bni8juU8LhT5Sw7gaS8Ka.jpg

일본 나리타 공항 공중전화 (사진 출처를 못 찾겠습니다. 예전에 찾아놓았을 때 메모하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전화기 높이가 낮습니다. 키가 다양한 사람들이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 느낀다면, 이렇게 만들 겁니다.

 

 

 

지하철이나 버스 손잡이는 한국 남성의 표준 키를 반영하여 설계했다고 합니다.

최근에 만들어진 지하철은 손잡이 높낮이가 다양합니다.

우리나라 서울지하철 9호선과 부산지하철 4호선의 손잡이가 아래와 같은 모습입니다.

 

 

oK58Sc5K1WWCbfz9IsyE757v8vFm32Cq.jpg

서울 지하철 9호선 손잡이 (사진 출처 : cafe.daum.net/jos800/C82O/53?svc=cafeapi)

 

 

6N9wtPQad672T9k5Hc6EcE9aJ8GSbVsD.jpg

부산 지하철 4호선 손잡이 (사진 출처 : blog.naver.com/abigailwd/220139522348)

 

 

 

더 살펴보니

아래처럼 버스 손잡이 높낮이는 자유롭게 조절하는 디자인도 이미 소개되었습니다.

 

 

aWkqq7365a6zFAh6FA2Q81p3JdHGBy06.jpg

사진 출처 : 디자인소리_건국대학교 글로컬 캠퍼스 정동성, 박효상, 권균환 iF 어워드: 콘셉트 디자인 2014 수상

 
 

 

이 환경 속에서는 작은 키가 문제 되지 않습니다.

내 키와 높은 손잡이가 만났을 때 '장애'를 경험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내 키를 크게 하거나, 손잡이는 낮게 합니다. 

사회복지사는 이 둘을 함께 생각하고, 무엇을 도울지 자기 정체성,

처지와 역량을 따져 선택합니다.)

 

 

 

약자를 '배려'한다는 표현도 조심스럽습니다.

그저 함께 살아가는 이들이 다양할 뿐입니다.

생태계의 건강성 기본 속성은 생물 종의 다양성입니다.

다양한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가 건강한 사회입니다.

다양한 사람을 생각하여 설계한 사회 속에서는 장애인이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환경이 변하면 휠체어를 이용해도 텃밭을 가꿀 수 있다.

 

 

그런 사회에서는 휠체어를 탄 이들도 텃밭 가꾸는 일조차 어렵지 않습니다.

이런 환경이라면 이 일에서는 장애, 곤란을 경험하지 않으니 장애인이 아닙니다. 

 

 

21e03zH313Jnw4b1uC9rA9tqQ66xwiu0.jpg

80c4nzRhX8pjv3jJZmE4862bJ8pS8FB0.jpg

hM8HJG657WhC1pv7SF1hx1T5Z1Rs40j3.jpg

dKntnocfhwG64Yg95odT3Yk1ijIHfgai.jpg

사진 출처 : 조경뉴스 2012.03.17. 프랑스에서 제작한 ‘Terraform

 

 

 

 

높낮이 조절 현금자동인출기

 

 

아래 사진은 휠체어에 앉은 이가 은행 현금자동인출기(ATM)를 이용하는 모습입니다.

2012년 어느 신문에서 보았던 이 사진에는 이런 기사가 함께 실렸습니다.

 

 

YQ05M40874m9TAQNt2KwxHtpHU56P4V1.jpg

사진 출처 : 세계일보, 2012.6.4.

 

 

은행들은 지난해 사상 최대 수익을 올리면서 ‘금융 탐욕’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높아지자

선심이나 쓰듯 사회적 약자 보호를 전면에 내걸었다.장애인 편의를 겨냥한 대책도 그중 하나다. 하지만 발표만 요란할 뿐 달라진 것도 별로 없다.

 

 

한국은행과 17개 은행으로 이뤄진 ‘금융정보화추진위원회’는 지난해 10월 말휠체어 사용자를 위해 ATM 설치 표준안을 만들고 부스 크기, 기계 조작부 높이를 표준화했다.그 후 7개월여의 시간이 흘렀으나 눈에 띄는 결과물은 찾아보기 힘들다.

 

 

기자가 직접 서울 도심인 을지로 일대 시중은행 점포 10곳을 점검한 결과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이용 가능한 ATM으로 바꾼 곳은 한 군데도 없었다.자체 실태조사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무관심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신규 점포나 리모델링 점포는 교체하려고 애를 쓰지만기존에 설치된 기기를 뜯어내고 설치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며 고개를 저었다.세계일보, 2012.6.4.

 

 

 

이 뒤로, 여러 은행에서 인출기를 교체했습니다. 둘레 환경을 바꿨습니다.

다양한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로 다가갔습니다.

 

 

단, 장애인 표시를 붙이고 장애인 전용 인출기라고 말하는 건 아쉽습니다.

선심 쓰듯 장애인을 배려한다고 느끼게 합니다. 

 

 

건강한 공동체는 다양한 사람이 더불어 살아가니,

사회 환경도 다양한 사람을 생각하며 설계한다, 그런 마음이면 좋겠습니다.

 

 

092RT0t5Rrc5h5SFFno8DLD15O3YT68r.jpg

사진 출처 : 소셜포커스 2020.6.19. "2023년까지 모든 ATM 시각ㆍ지체 장애 범용으로 설치한다"

 

 

 

아래 사진 또한 98년 일본에서 직접 촬영한 사진입니다.

버튼을 눌러 단말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장애인 전용 표시'는 없습니다.

 

 

hR726o5xHM79Jgvh1qc9HpHMAk0n8rDR.png

사진출처: 김세진, 1998

 

 

 

 

높낮이 조절 키오스크

 

 

코로나 19 상황 속에서 사람과의 직접 대면을 피하고 싶어졌습니다.

무인가게가 늘어났고, 기존 가게도 주문을 키오스크와 같은 기계를 사용하는 곳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키오스크를 보면서 예전에 보았던 위 사진들이 다시 떠올랐습니다.

성인 평균 키를 생각하여 만들었을 겁니다.

'평균'의 수준이 높은 사회에서는 많은 사람, 다양한 사람이 장애를 경험합니다.

다양한 사람이 어울려 살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바탕에 있다면,

키오스크도 다르게 만들어졌을 겁니다.

 

 

[관련 기사_클릭]

"이거 편하세요?"…장애인 배려 없는 키오스크 '불편한 진실'

 

 

18QGzpFc2FQKqjD5bNx7Gs7su9z02z3G.jpg

사진 출처 : (주)엘리비젼

 

 

 

반가운 소식, 자동 높낮이 조절 키오스크가 이미 나왔습니다.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글을 쓰며 찾아보니 이미 만들어졌고, 

설치하여 사용하는 곳도 있습니다.

 

 

7Gb1GyFeUvKT3T86J566o1SQKxbyG6eU.jpg

자동 높낮이 조절 키오스크. 수동으로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진 출처 : (주)엘리비젼

 

 

 

 

 

 

한국 사회가 다양한 사람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라면

작은 일에서도 둘레 사람을 잘 살필 겁니다.

약자도 살 만하고, 약자와 더불어 사는 사회는

'장애인의 날'이 따로 있지 않을 겁니다.

 

 

복지관 사회복지사들의 일이 더 분명하게 다가옵니다.

더불어 살게 돕는 사람입니다.

평소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어울려본 경험이 있다면

나와 다른 사람들이 있다는 걸 생각할 겁니다.

 

 

 

 

서울장애인복지관 실천 사례

 

 

서울장애인복지관 지역포괄촉진부에서 진행했던 '평생교육 지원사업'.

당사자가 자기 취미 여가 활동을 자기 삶 속에서, 일상에서 이루게 도왔습니다.

장애인복지관 사회사업가로 개인을 환경에 적응하게 돕기도 했지만,

환경이 당사자를 이해하고 함께하게 거들었습니다.

 

 

장애인을 따로 모아 특별한 활동을 하지 않았습니다

여느 사람이 이용하는 복지수단으로,

당사자가 편안하게 이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평범하고 보편적 수단으로,

즉, 고덕평생학습관이나 이마트 문화센터에서 취미 여가를 이루고 누리게 거들었습니다.

복지관 사회사업가는 '고덕평생학습관'이나 '이마트'라는 당사자의 둘레 환경을 만나 제안하고 부탁했습니다.

 

 

아래 영상이 그 증거입니다. (당사자의) 환경 변화의 실체입니다.

인터뷰 내용이 감동입니다. 

 

 

이렇게 해야 당사자에게도 (여가 따위) 학습의 효과를 넘어 다양한

사회적 관계가 만들어질 기회가 생기고,

지역사회도 변화의 계기가 생기고, 기회가 찾아오고, 명분이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하면 인식개선 사업을 별도로 이루지 않아도 됩니다.

이 자체가 그런 사업입니다. 

 

 

이런 지역사회에서는 취미 여가 활동에서만큼은 '장애'를 경험하지 않습니다.

약자도 살 만한 지역사회, 약자와 더불어 사는 지역사회 모습이 이와 같을 겁니다.

이런 사례가 공유 확산하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관련 영상_클릭]

 

https://youtu.be/7BjpMcFGyNI

https://youtu.be/QlCy022aC68

 

 

 

본 게시물은 서울시복지재단과 글쓴이의 허가를 받아 게시하였습니다.

출처링크: http://asq.kr/zKPXD

출처: 서울시복지재단 서울복지교육센터 공유복지플랫폼 2021.05.19


  1. 환경 속 인간_높이 조절 키오스크

    환경 속 인간_높이 조절 키오스크 김세진(사회복지사무소 '구슬' / 책방, 구슬꿰는실 대표) 사회사업에서 ‘장애’는 어느 한쪽의 문제가 아닙니다. 당사자의 능력이 뛰어나도 그 이상을 요구하는 환경과 만났을 때 경험하는 약함이 ‘장애’입니다. 내 약함이 장...
    Date2021.05.27 Bysasw Views821
    Read More
  2. 우리 모두의 ‘존엄’을 꿈꾸다!

    최근 중앙대 김누리 교수의 ‘우리의 불행은 당연하지 않습니다’라는 책을 재미있게 보았다. 강연하듯 쓰여져서 쉽게 읽히고, 이해하기가 편했다. 과거 학창시절에 세계사를 배울 때, 그리고 아이들을 키우며 아이들이 재미있게 읽던 ‘먼 나라 이웃나라’ 시리즈...
    Date2021.05.27 Bysasw Views448
    Read More
  3. [20대 대선] 한국사회복지시설단체협의회, 사회복지 10대 아젠다 발표

    전국 15개 사회복지직능단체로 구성된 한국사회복지시설단체협의회(이하 한단협)은 2022년에 진행되는 20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지난 5월 12일 사회복지분야 10대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한단협은 제안문 발표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
    Date2021.05.25 Bysasw Views405
    Read More
  4. 코로나 1년, 숫자로 본 20대 서울청년의 삶

    코로나 1년, 숫자로 본 20대 서울청년의 삶 변금선(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 1년이 넘었다. 코로나19로 많은 시민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특히 20대 청년이 받은 충격은 크다. 코로나19는 청년이 쌓아온 노력, 미래, 꿈, 희망을 무...
    Date2021.05.13 Bysasw Views497
    Read More
  5. [성명] 어린이 건강권과 생명권을 가로막는 복지부를 규탄한다

    어린이 건강권과 생명권을 가로막는 복지부를 규탄한다 어린이병원비 100만원 상한제를 시행하라 “아이의 생명을 모금에 의존하지 말고, 치료비를 국가에서 책임지자”라는 어린이 건강권과 생명권 운동 차원에서 2016년 2월에 시작한 <어린이병원비 국가보장 ...
    Date2021.05.04 Bysasw Views201
    Read More
  6. 우리의 4월, 그리고 내일의 우리

    우리협회 복지국가시민위원회는 세상을 바꾸는 사회복지사(세밧사), 서울복지시민연대와 세월호 1주기부터 연대사업을 진행해왔다. 올해는 4월 13일(금) 저녁, 세월호 7주기 연대사업으로 영화‘당신의 사월’을 단체 관람하였다. 코로나19로 관람 인원을 50인 ...
    Date2021.04.29 Bysasw Views385
    Read More
  7. 사회복지계의 갑질, 종속적 동반자 관계의 비극

    사회복지계의 갑질, 종속적 동반자 관계의 비극 윤찬영(전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이끄는 공공(公共)과 민간이 어떤 관계를 맺고 어떻게 기능하느냐 하는 것은 국가와 사회의 현재와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지방자치시대를...
    Date2021.04.26 Bysasw Views875
    Read More
  8. 오세훈 서울시장과 함께하는 사회복지 직능단체장 간담회 진행

    우리협회와 서울시사회복지단체연대회의는 4.7 보궐선거로 당선된 오세훈 시장과 사회복지정책 간담회를 진행하였다. 앞서 오세훈 시장은 서울시장 후보였던 지난달 12일 서울시 사회복지 직능단체장들과 정기적인 소통의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 오세...
    Date2021.04.16 Bysasw Views2007
    Read More
  9. 지역계산 말고 지역복지

    지역계산 말고 지역복지 노수현((주)쿰&도서출판 마음대로 대표) “초개인화 기술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비자 한 사람 한 사람을 더욱더 세분화된 개인으로 그려낸다. 공급자가 개별 소비자를 얼마나 세심하게 이해하고 맞출 수 있는지가 초개인화 기술의 핵...
    Date2021.04.02 Bysasw Views732
    Read More
  10. 치열한 봄날, 우리의 선택과 책임

    2월에 이어 3월도 서울은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열기로 뜨겁다. 우리 협회도 2월에 이어 서울시 21개 직능단체 연대회의체인 서울시사회복지단체연대회의와 함께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사회복지정책간담회를 박영선 후보(3월 13일), 오세훈 후보(3월 12일...
    Date2021.03.31 Bysasw Views369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46 Next ›
/ 46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