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이슈&칼럼
조회 수 134 추천 수 0 댓글 0
Atachment
첨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김정순 노무사님.jpg

김정순 노무사(노무법인 천지)     

 

 

 24시간 운영되어야 하는 생활시설은 교대근무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1주 단위로 규칙적인 근로가 이루어지는 주40시간 근로와는 달리, 교대제는 매주 근로시간에 차이가 있고 특히 1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의 처리방법에 대한 질의가 많다. 이하에서는 근로기준법 제51조의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하여 교대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한다.

 

 

 

1. 탄력 근로시간제의 개념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근로시간을 특정 기간 내에서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근무 형태다. 사용자는 2주 또는 3개월 이내의 단위 기간 내에서 주 평균 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로시간을 배분(근로기준법 제51)할 수 있다.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하면 특정 주간에 근로시간이 집중되더라도 다른 주간에 근로시간을 줄여 전체 근로시간을 평균 40시간으로 맞출 수 있다.

 

 

관련 규정

51(3개월 이내의 탄력적 근로시간제)

사용자는 취업규칙(취업규칙에 준하는 것을 포함한다)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2주 이내의 일정한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의 근로시간이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에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특정한 날에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한 주의 근로시간은 48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② 사용자는 근로자대표와의 서면 합의에 따라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정하면 3개월 이내의 단위기간을 평균하여 1주 간의 근로시간이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특정한 주에 제50조제1항의 근로시간을, 특정한 날에 제50조제2항의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특정한 주의 근로시간은 52시간을, 특정한 날의 근로시간은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다.

1. 대상 근로자의 범위

2. 단위기간(3개월 이내의 일정한 기간으로 정하여야 한다)

3. 단위기간의 근로일과 그 근로일별 근로시간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1항과 제2항은 15세 이상 18세 미만의 근로자와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사용자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라 근로자를 근로시킬 경우에는 기존의 임금 수준이 낮아지지 아니하도록 임금보전방안(賃金補塡方案)을 강구하여야 한다.

 

 

2. 교대제에서의 적용 방안

 

18시간을 넘으면 연장근로에 해당하여 1.5배의 법정 할증률을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나 탄력근로시간제를 활용하면 주 평균 40시간을 넘는 경우에만 연장근로로 간주한다. 따라서 특정일에 근로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교대제의 경우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하면 전체 근로시간은 유지하면서 연장근로시간은 단축할 수 있다.

 

원칙

주간근로: 09:00 ~ 19:00 (휴게 1시간, 연장근로 1시간)

야간근로: 19:00 ~ 09:00 (야간휴게 5시간, 연장근로 1시간, 야간근로 3시간)

교대주기: 32교대 (주주야야휴휴)

 

 

구분

합계

근로주기

1

주간

주간

야간

야간

 

 

주간

2

주간

야간

야간

 

 

주간

주간

3

야간

야간

 

 

주간

주간

야간

4

야간

 

 

주간

주간

야간

야간

5

 

 

주간

주간

야간

야간

 

6

 

주간

주간

야간

야간

 

 

총 근로시간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252시간

소정근로

32

(8*4)

32

(8*4)

32

(8*4)

32

(8*4)

32

(8*4)

32

(8*4)

32

(8*4)

224시간

연장근로

4

(1*4)

4

(1*4)

4

(1*4)

4

(1*4)

4

(1*4)

4

(1*4)

4

(1*4)

28시간

야간근로

6

(3*2)

6

(3*2)

6

(3*2)

6

(3*2)

6

(3*2)

6

(3*2)

6

(3*2)

42시간

탄력근로 계산

탄력

근로

구 분

계산식

계산결과

소정근로시간

1주 평균

224시간 / 6= 37.3시간

162.1시간

(주휴포함시

195시간)

1월 환산

37.3시간 * 4.345= 162.1시간

연장근로시간

1주 평균

28시간 / 6= 4.7시간

20.4시간

1월 환산

4.7시간 * 4.345= 20.4시간

야간근로시간

1주 평균

42시간 / 6= 7시간

30.4시간

1월 환산

7시간 * 4.345= 30.4시간

탄력근무를 활용하는 경우(6주 단위)

주간근로: 09:00 ~ 19:00 (휴게 1시간, 연장근로 1시간)

야간근로: 19:00 ~ 09:00 (야간휴게 5시간, 연장근로 1시간, 야간근로 3시간)

교대주기: 32교대 (주주야야휴휴)

 

 

구분

합계

근로주기

1

주간

주간

야간

야간

 

 

주간

2

주간

야간

야간

 

 

주간

주간

3

야간

야간

 

 

주간

주간

야간

4

야간

 

 

주간

주간

야간

야간

5

 

 

주간

주간

야간

야간

 

6

 

주간

주간

야간

야간

 

 

총 근로시간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36

(9*4)

252시간

야간근로

6

(3*2)

6

(3*2)

6

(3*2)

6

(3*2)

6

(3*2)

6

(3*2)

6

(3*2)

42시간

탄력근로 계산

탄력

근로

구 분

계산식

계산결과

근로시간

1주 평균

252시간 / 6= 42시간

42시간

소정근로시간

1주 평균

40시간(1주 최대 40시간)

173.8시간

(주휴포함시 209시간)

1월 환산

40시간 * 4.345= 173.8시간

연장근로시간

1주 평균

42시간 40시간 = 2시간

8.7시간

1월 환산

2시간 * 4.345= 8.7시간

야간근로시간

(동일)

1주 평균

42시간 / 6= 7시간

30.4시간

1월 환산

7시간 * 4.345= 30.4시간

 

 

비교

원칙적인 계산방식과 탄력적 근로시간제 적용시의 계산방식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원칙적 계산방법은 1일 단위로 발생하는 연장근로를 단순합산 하는 방식인데,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하면 6주 동안의 근로시간을 평균하게 되므로 연장근로 시간은 줄어들고 소정근로시간은 최대 140시간까지 늘어나게 되는 원리이다.

 

비교(1월 환산)

 

원칙

탄력적 근로시간제

비교

총 근로시간(6)

252시간

252시간

동일

소정근로시간(1)

162.1시간

173.8시간

-11.7시간

연장근로시간(1)

20.4시간

8.7시간

+11.7시간

야간근로시간(1)

30.4시간

30.4시간

동일

 

 

3. 결어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교대근무를 운영하는 사업장에서 연장근로시간을 줄이고 근로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다만,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할 경우 연장근로 감소로 인해 근로자의 임금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이를 보전하기 위한 명확한 방안(휴게시간 축소 조정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탄력적 근로시간제는 연장근로시간 감소에 따라 수령 임금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이미 교대제를 운영하는 시설에서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하려면 반드시 근로자 대표의 동의가 필요하다.

 

  1. [노무칼럼] 근로시간 관리

    김정순 노무사(노무법인 천지) 24시간 운영되어야 하는 생활시설은 교대근무 활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1주 단위로 규칙적인 근로가 이루어지는 주40시간 근로와는 달리, 교대제는 매주 근로시간에 차이가 있고 특히 1일 8시간을 초과하는 근로시간의 처리방...
    Date2025.01.06 ByAdmin Views134
    Read More
  2. ‘복지국가와 시민사회를 위한 연대’의 약속 : 2025 위기의 시대, 공존과 상생의 꿈

    ‘복지국가와 시민사회를 위한 연대’의 약속 : 2025 위기의 시대, 공존과 상생의 꿈 심정원(서울특별시사회복지사협회 회장) 2025년은 을사년(乙巳年), 청색 뱀의 해이다. 뱀은 타고난 지혜를 가지고 있고, 혼란과 어려움 속에서도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다고 ...
    Date2025.01.03 ByAdmin Views57
    Read More
  3. [노무칼럼] 근로시간의 개념 및 사례

    김정순 노무사(노무법인 천지) 사회복지시설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므로, 임금 지급의 기초가 되는 근로시간의 엄격한 관리가 중요하다. 보조금에서 허용하는 기준을 넘어서는 경우 임금 지급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근로시간의...
    Date2024.11.28 ByAdmin Views347
    Read More
  4. [노무칼럼] 육아휴직기간 연장 등 남녀고용평등법, 근로기준법 개정 내용 안내

    김정순 노무사(노무법인 천지) 2024년 9월 26일 육아휴직기간 6개월 연장 등의 내용을 담은 남녀고용평등법, 근로기준법 개정안이 국회 본희의를 통과하여 2025년 2월 23일(연차휴가 산정방식 변경의 경우 2024년 10월 22일)부터 시행될 예정인 바, 이번 노무 ...
    Date2024.10.28 ByAdmin Views570
    Read More
  5. [노무칼럼] 임시공휴일 지정 시 근로조건 처리 방안

    임시공휴일 지정 시 근로조건 처리 방안 김정순 노무사 (노무법인 천지) 2024년 9월 3일 국무회의에선 이번 국군의 날(10월 1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기로 하였다. 갑작스러운 임시공휴일 지정에 임시공휴일 당일 종사자의 임금 등 근로조건을 어떻게 처리해...
    Date2024.09.25 ByAdmin Views1920
    Read More
  6. [노무칼럼] 직장 내 괴롭힘 인정 요건과 보호조치

    직장 내 괴롭힘 인정 요건과 보호조치 김정순 노무사 (노무법인 천지) 직장에서 이루어지는 괴롭힘은 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해 피해자로서는 즉각 대응이 어려우며, 은밀하게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사용자가 문제를 발견하고 관리하기도 쉽...
    Date2024.09.03 ByAdmin Views862
    Read More
  7. [칼럼] 마음건강 지원사업을 통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외상은 낮추고, 마음건강은 높여요

    마음건강 지원사업을 통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외상은 낮추고, 마음건강은 높여요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배영미 외래교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는 위기에 처한 이들의 삶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Date2024.08.20 ByAdmin Views1324
    Read More
  8. [노무칼럼] 고용종료 사유와 실업급여

    고용종료 사유와 실업급여 김정순 노무사 (노무법인 천지) 실업급여는 실직 근로자의 생활 안정 및 재취업 기회 부여 목적으로 재취업 기간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업급여는 구직의사가 있으나 실업 중(비자발적 실업)인 자의 경우에 ...
    Date2024.07.29 ByAdmin Views3691
    Read More
  9. [칼럼] 인공지능과 사회복지의 현장, 우리는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가?

    인공지능과 사회복지의 현장, 우리는 디지털 전환을 준비하고 있는가? 비영리마케팅연구소 복지꿀팁 김근태 대표 2009년 아이폰3GS가 대한민국에 상륙하면서 본격적인 스마트폰 시대가 시작되었다. 사무실과 가정에서 컴퓨터를 켜야지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
    Date2024.07.04 ByAdmin Views750
    Read More
  10. [노무칼럼] 동일 법인 내 산하 시설 간 이동 시 근로조건 처리 방안

    동일 법인 내 산하 시설 간 이동 시 근로조건 처리 방안 김정순 노무사 (노무법인 천지) 2024년의 절반이 지나가는 6월, 상반기 지자체 감사 및 인사이동 철을 맞이하며 종사자를 원래 근무하던 시설에서 동일 법인 내 다른 시설로 이동시키는 경우 입퇴사 처...
    Date2024.06.26 ByAdmin Views946
    Read More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 47 Next ›
/ 47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